교수협의회의 공개 제안(Ⅰ)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교수협의회의 공개 제안(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81회 작성일 11-05-18 00:00

본문


교협소식 11-10


                     
교수협의회의 공개 제안(Ⅰ)

 

 

  교수협의회는 그 동안 지속적으로 학내 현안의 개선책을 제시해 왔다. 교직원 식당
환경 개선, 정문과 중문의 교명석, 공동 심포지엄 개최, 전산오류 사태 진상조사위원
회 구성,‘평양 숭실대 재건 위원회’구성 등이 그 예들이다. 이 같은 약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내 현안들은 여전히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에 교협은 현 집행부가 당장 해결에 나서야 할 시급한 학내 현안 10개 사항
을 3차례(18일, 19일, 20일)에 걸쳐 공식 제안한다. 그리고 교협의 이 같은 제
안에 대한 본부 측의 견해와 대책을 5월말까지 공개적으로 제시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1. 숭실대는 지난 6개월 동안 대중 언론 매체에 6차례나 비판적으로 보도되
    었다. 이에 대한 대책이 무엇인가?
  
가. 언론 매체에 보도된 숭실(2010. 11 ~ 2011. 5)
    
1) 언론 보도 자료
      
가) 전산오류 사태
          
-「숭실대 전산 오류...수시응시생 '전원 합격' 통보」, YTN, 2010. 11. 05 
      
나) 성지순례
           -「성지순례 가자고 등록금 올리나?」, YTN, 2011. 1. 14
       다)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숭실대, 가수 불러 ‘1억 입학식’」,경양신문, 2011. 2. 28 
       라) 민자기숙사
           -「대학교 민자기숙사 "너무 비싸다" 불만 폭주」, 매일경제. 2011. 2. 14 
           
-「민자기숙사, 비용은 3배인데…서비스는 '낙제'」, SBS, 2011. 4. 3
      
마) 전산원 사태 
           -「패스웨이 프로그램을 아십니까?」, MBC PD수첩, 2011. 5. 10
  
나. 언론 매체에 의해 실추된 본교의 명예 회복을 위해, 대학 본부가 어떤 대책을 가
        지고 있는지, 또한 교협이 이를 어떻게 수용할 것인지에 관하여, 본부 측과의 대
        화를 제안한다.

2. 교수 급여의 정상적 운용
 
가. 교수 급여의 자율적 책정과 집행
     1) 매년 반복되는 교수 급여의 비정상적 집행은 총장, 부총장 등이 ‘불합리한 행정
         적 관행을 핑계로’ 본연의 자기소임을 다하지 않는 무책임한 처사이다.
    
2) 고등 교육기관에서 교육일선에 서 있는 교수의 급여가 자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책정되고 집행되어야 함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자명한 원칙이다.

     3) 숭실대학이 ‘기본이 바로서는 대학’이 되기 위해서는, 대학 본부가 구성원들 특
         히 교수단에 대해 성의 있게 행정적 의무를 다해야 한다. 
  나. 물가상승률과 전세금 상승률을 고려하여, 본부 측은 2011학년도 교수 급여 인상
       률을 적정선에서 책정할 것을 제안한다.

3. ‘평양 숭실대 재건 위원회’ 가동
 
가. 법인이사회는 2010학년도 5차 이사회(2010. 12. 15)에서 ‘평양 숭실대 재건 위
       원회’ 구성을 결의하고, 이사회 대표로 2인(정영환 이사, 박영립 감사)을 추천하
       였다.
 
나. 2011년 제1차 정기운영위원회(2011. 3. 15)에서 '평양 숭실대 재건 위원회’의 
       교협측 위원으로 박은구 회장과 이상진 부회장(2명)을 추천하기로 하였다.
 다. 총장은 여러 차례 ‘평양 숭실대 재건 위원회’를 2011년 3월부터 가동하기
      로 약속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장은 지금까지 이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
 
라. 대학 당국은 심기일전해서 보다 비전 있고, 통합적이며, 시대적 소명을 감
      당하는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다.


                                                                               
2011. 5. 18

                                                                               교수협의회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