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
노동조합은 총장 재임 동안 무너진 학내 민주적 질서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명한 교수협의회의 2월 6일자 성명에 대해 지지를 보내며, 이사장을 비롯한 이사회, 총장, 교내 각 주체의 노력으로 숭실의 민주질서를 다시 바로잡기를 바란다.
교원징계위원회에 관한 정관 개정안은 상위법령을 위배하면서까지 징계위원회의 독립성을 침해하고 총장 개인이 징계권을 휘두르기 위해 직권을 남용하는 개정안이다. 이미 직원 징계에 있어 경찰과 검찰, 노동위원회까지의 결정을 무시하고 한 사람에 대해 집요한 괴롭힘을 이어가고 있는 현 총장이 해당 정관까지 개정되면 얼마나 무도한 징계를 하려는지 우려가 되는 바이다. 또한 현 총장은 본인이 인사권자라면서 무리한 직무대리, 겸직, 전보 등을 통하여 행정질서를 어지럽히고 있다. 정관까지 개정하면서까지 임명했던 교목실장과 대외협력실장의 사례, 관리처장 직무대리 겸 관리팀장, 총무처장 겸 비서실장 겸직 사례는 모두 전체 교직원을 자괴감에 빠뜨리고 행정의 안정을 뒤흔드는 일이었다.
교무위원회에서 학장을 상대로 위압적인 자세로 대한 것도 충격적이다. 엄연히 종합대학으로서 각 단과대학의 독립적 지위는 인정되어야 하며, 단과대 내에서 민주적 절차를 통해 선출된 학장에 대해서는 그 책임과 권한이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총장이라고 무소불위의 권력을 얻은 것처럼 학장까지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동의를 강요하는 행태는 현 총장의 불통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연구윤리를 위반한 혐의를 받고 있던 교목실장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의원사직으로 무마한 것은 심각한 연구윤리 위반이다. 자랑스러운 숭실을 뒤가 구린 조직으로 만들려 하는가. 온힘을 다해 연구하는 교원들과 이를 지원하는 직원 모두의 얼굴에 먹칠을 하는 것이다. 심지어 본인의 강력한 의지 하에 진행했던 무리한 보직 임용과 정년직 교원 채용이 명백한 인사 실패가 되었음에도, 이 사태에 대해 한 마디 사과 없이 당사자의 의원사직으로 모든 것을 덮어서는 안된다. 사태의 전말을 밝히고 책임소재 규명이 필요하다.
총장 선출 과정에서 정상적으로 총장추천위원회가 운영되지 못하고, 결국 비민주적으로 임명된 총장의 결과가 이런 상황이다. 총장 한 사람의 전횡으로 무참히 무너져가는 숭실의 민주질서가 안타깝다. 현 상황에 대해 학생, 교원, 동문, 직원 등 모든 승실 구성원들은 엄중하게 바라보고 함께 대응해야 할 것이며, 이사장을 비롯한 이사회와 당사자인 총장은 무거운 책임을 가지고 숭실 민주질서를 회복하는데 진력해야 할 것이다. 이에 노동조합은 교수협의회의 요구안을 함께 요구하는 바이다.
1. 숭실대학교 총장 장범식은 독단적이고 자의적인 권력 남용으로 야기된 학교 행정의 제반난맥상을 즉각 시정하고 구성원들에게 사과하라.
2. 학교법인 숭실대학교 이사회는 총장의 위법적 정관 변경 요구를 거부하고, 총장의 교무위원회 무력화 시도, 연구윤리 문제 은폐 시도 등 제반 사항에 대해 즉각 감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구성원에게 투명하게 공개하라.
2024년 2월 8일
전국대학노동조합 숭실대지부